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국 기술주 투자의 '심장'이라 불리는 나스닥 100 지수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등 전 세계를 선도하는 혁신 기업 100곳을 모아놓은 매력적인 지수입니다. 가장 유명한 QQQ 외에도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는 투자자의 다양한 전략과 목적에 맞게 여러 종류로 나뉘어 있습니다. 오늘은 나스닥 100 ETF인 QQQ, QQQM, QQQE, QYLD를 소개하고 어떤 ETF가 나의 투자 성향에 맞을지 완벽하게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1. QQQ (Invesco QQQ Trust) - '근본' 그 자체
나스닥 100 ETF의 '대명사'이자 '근본'입니다. 1999년에 상장하여 가장 긴 역사와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합니다.
- 티커: QQQ
- 운용사: Invesco
- 운용 보수: 연 0.20%
- 추종 방식: 시가총액 가중 (빅테크 비중 높음)
- 공식 페이지: QQQ
- 장점
- 압도적 유동성: 전 세계 ETF 중 거래량이 가장 많은 수준이라, 언제든 원하는 가격에 쉽게 사고팔 수 있습니다.
- 높은 인지도 및 신뢰도: 역사가 증명하는 대표 ETF입니다.
- 단점
- 상대적으로 높은 보수: 다른 ETF들에 비해 운용 보수(0.20%)가 다소 비싼 편입니다.
2. QQQM (Invesco NASDAQ-100 ETF) - '장기 투자자'의 선택
QQQ의 인기를 바탕으로 장기/소액 투자자를 위해 Invesco가 2020년에 출시한 ETF입니다. (QQQ Mini)
- 티커: QQQM
- 운용사: Invesco
- 운용 보수: 연 0.15%
- 추종 방식: 시가총액 가중 (QQQ와 동일)
- 공식 페이지: QQQM
- 장점
- 낮은 운용 보수: QQQ(0.20%)보다 저렴한 0.15%의 보수로,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주당 가격: 1주당 가격이 QQQ보다 저렴하여 매월 꾸준히 적립식으로 모아가거나 소액으로 투자하기에 유리합니다.
- 단점
- QQQ 대비 유동성이 낮지만 개인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문제없는 수준입니다.
3. QQQE (Direxion NASDAQ-100 Equal Weighted) - 빅테크 '쏠림은 싫다'
QQQ와 QQQM은 애플, MS 등 상위 몇 개 기업의 비중이 50%를 넘나듭니다. 이 쏠림이 아쉽다면 대안이 있습니다.
- 티커: QQQE
- 운용사: Direxion
- 운용 보수: 연 0.35%
- 추종 방식: 동일 가중 (Equal Weight)
- 공식 페이지: QQQE
- 장점
- 골고루 분산: 나스닥 100개 기업에 모두 1% 내외의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 중소형주 비중 확대: QQQ에서는 비중이 낮았던 중소형 혁신 기업들의 비중이 높아져, 이 기업들의 성장 잠재력에 더 많이 투자하게 됩니다.
- 단점
- 운용 보수(0.35%)가 QQQ/QQQM보다 비쌉니다.
- 만약 소수의 빅테크 기업이 시장 전체를 끌고 가는 '대세 상승장'이라면, QQQ보다 수익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4.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 상승보다 '월배당'
시세 차익보다는 매월 꾸준한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들을 위한 ETF입니다.
- 티커: QYLD
- 운용사: Global X
- 운용 보수: 연 0.60%
- 전략: 커버드콜 (Covered Call)
- 공식 페이지: QYLD
- 특징
- 나스닥 100 주식들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합니다.
- 이 옵션 판매 대금을 재원으로 투자자에게 매우 높은 월배당금(분배금)을 지급합니다. (연 10% 내외)
- 장점
- 매력적인 월 현금 흐름: 은퇴자나 현금 흐름이 중요한 투자자에게 매력적입니다.
- 횡보장/약하락장: 지수가 크게 오르지 못하는 지루한 장세에서도 배당금 덕분에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상승장 수익 제한: 나스닥 100이 폭발적으로 상승할 때 그 상승 과실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수익 상단이 막혀있음)
- 원금 하락 위험: 하락장에서는 주가 하락 + 배당금 감소의 이중고를 겪을 수 있습니다.
- 운용 보수(0.60%)가 매우 비쌉니다.
5. 한눈에 비교 - QQQ vs QQQM vs QQQE vs QYLD
| 항목 | QQQ | QQQM | QQQE | QYLD |
| 추종 방식 | 시가총액 가중 | 시가총액 가중 | 동일 가중 | 커버드콜 |
| 운용 보수 | 0.20% | 0.15% | 0.35% | 0.60% |
| 핵심 특징 | 압도적 유동성 | 저비용, 장기 적립 | 빅테크 쏠림 방지 | 높은 월배당 |
| 상승장 수익 | 높음 | 높음 | 중간~높음 | 매우 낮음 (수익 제한) |
결론
네 가지 ETF는 모두 '나스닥 100'이라는 재료를 사용하지만 요리법이 완전히 다릅니다.
- "미국 기술주의 성장을 믿고 10년, 20년 꾸준히 모으겠다!" -> QQQM
- "나는 큰돈을 단기적으로 굴리는 트레이더다!" -> QQQ
- "애플, 엔비디아 쏠림이 불안하다. 100개 기업에 골고루 투자하고 싶다!" -> QQQE
- "주가 상승은 관심 없다. 당장 매달 쓸 수 있는 현금흐름이 필요하다!" -> QYLD
자신의 투자 철학과 목적 그리고 기간을 명확히 설정한다면 어떤 ETF가 당신에게 가장 잘 맞는지 분명하게 보이실 겁니다.
반응형
'주식 > 미국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 장기채 ETF 완벽 비교 (TLT, VGLT, EDV) (0) | 2025.11.02 |
|---|---|
| 미국 상장 일본 ETF 총정리 (EWJ, FLJP, SCJ) (0) | 2025.10.29 |
| '넥스트 차이나' 인도 ETF 총정리 (INDA, EPI, INDY) (0) | 2025.10.26 |
| 미국 고배당 ETF 3대장 (SCHD, VYM, JEPI) 장단점 완벽 비교 (0) | 2025.10.25 |
| 미국 신흥국 ETF 총정리 (VWO, IEMG, EEM) (0) | 2025.10.2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미국etf
- 이슈
- 신흥국
- Linux
- JEPI
- algorithm
- SCP
- USDC
- network
- TLT
- QQQE
- 주간
- GLDM
- 암호화폐
- hash
- 미국
- 미국주식
- EEM
- Sorting
- ETF
- frontend
- 장기채
- VFH
- 증시
- FLJP
- 채권
- ewj
- certificate
- SIVR
- Python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