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Python
Python 자료형 - 4. 튜플 (Tuple)
튜플 (Tuple) 튜플은 여러 개의 객체를 모아 담는 데 사용된다.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수정이 불가능하다. 1) 튜플 선언 >>> a = ("A", "B", "C", "D") >>> b = ("X", "Y", "Z", a) >>> a ('A', 'B', 'C', 'D') >>> b ('X', 'Y', 'Z', ('A', 'B', 'C', 'D')) 2) 튜플 인덱싱 및 슬라이싱 튜플도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 ex = ("1", "2", "3", 4) >>> ex[0] '1' >>> ex[2:] ('3', 4)
Python 자료형 - 3. 리스트 (List)
리스트 (List) 리스트란 순서대로 정리된 항목을 담는 자료형이다. 1) 리스트 선언 >>> list = ["apple", "banana", "melon", "grape"] >>> list ['apple', 'banana', 'melon', 'grape'] 2) 리스트의 정렬, 삽입, 삭제, 수정 sort()를 이용한 정렬 >>> list.sort() >>> list ['apple', 'banana', 'grape', 'melon'] append()를 이용한 삽입 >>> list.append("mango") >>> list ['apple', 'banana', 'grape', 'melon', 'mango'] del을 이용한 삭제 >>> del list[0] >>> list ['banana', 'grape..
Python 자료형 - 2. 문자열 (String)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문자들의 나열 다르게 말하면 문자들의 집합이다. 1) 문자열 표현 방식 작은 따옴표 >>> str = 'Hello world!' >>> str 'Hello world!' 큰 따옴표 >>> str = "Hello world!" >>> str 'Hello world!' 여러 줄의 문자열을 표현하고 싶을 때 (연속된 3개의 따옴표를 이용) >>> str = '''Hello ... world! ... hahaha''' >>> str 'Hello\nworld!\nhahaha' 2) 문자열 연산 문자열 연결 +연산은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문자열을 연결해준다. >>> str1 = "Hello " >>> str2 = "world!" >>> str1 + str2 'Hello world!' ..
Python 자료형 - 1. 숫자형 (Number)
숫자형 (Number) 숫자형에는 정수형(Integer)과 실수형(Floating-point) 두가지 종류가 있다. 1) 종류 정수형 정수형(Integer)란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이다.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num = 123 num = -123 num = 0 실수형 실수형(Floating-point)란 실수를 뜻하는 자료형이다. (소수점을 포함) num = 4.3 num = -3.1 num = 3.75e10 # 지수를 이용한 표현도 가능하다. 8진수 8진수(Octal)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0o 또는 0O를 이용하면 된다. num = 0o222 16진수 16진수(Hexadecimal)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0x를 이용하면 된다. num = 0x1A1 2) 숫자를 사용한 연산 사칙연산 파이썬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