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JMY__
MY Devblog
__JMY__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2)
    • Dev (52)
      • Algorithm (6)
      • Linux (12)
      • Network (7)
      • Container (2)
      • Python (14)
      • Frontend (2)
      • Etc (9)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hash
  • flask
  • SCP
  • frontend
  • Ingress
  • Tuple
  • hikaricp
  • tcpdump
  • Linux
  • Kubernetes
  • Python
  • Docker
  • Sorting
  • algorithm
  • react
  • wget
  • certificate
  • network
  • flexbox
  • springboot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__JMY__

MY Devblog

Dev/Network

HTTP GET과 POST

2020. 12. 20. 23:11

HTTP GET과 POST

GET과 POST는 가장 흔이 쓰이는 HTTP 메소드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할 때 사용합니다.

GET

GET 방식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입니다.

GET 방식은 요청하는 데이터가 URL에 담겨서 전송됩니다. (URL상 ?뒤 key, value로 쌍을 이루는 QueryString이 포함됨)

URL상에 포함되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적입니다.

데이터가 URL에 노출이 되기 때문에 보안이 필요한 정보들은 GET방식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POST

POST 방식은 리소스 생성/변경을 위한 메소드이며 데이터가 HTTP body에 포함되어 전송됩니다.

HTTP body는 길이의 제한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GET방식 보다는 많은 데이터를 보내기에 적합합니다.

URL 상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아 GET 방식보다는 보안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암호화해서 전송하지 않을 경우 body의 데이터 확인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보안에 민감한 데이터일 경우 반드시 암호화하여 전송해야 합니다.

반응형

'Dev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dump  (0) 2021.12.14
netstat  (0) 2021.12.14
mtr  (0) 2021.12.14
SSH 포트포워딩  (0) 2020.11.20
nmap 명령어  (0) 2020.11.20
    'Dev/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stat
    • mtr
    • SSH 포트포워딩
    • nmap 명령어
    __JMY__
    __JMY__
    공부내용 정리 블로그

    티스토리툴바